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푸리에변환2

[PCB EMI] 이상적 구형파의 스펙트럼 (11) 디지털 신호가 '이상적'일수록 고주파는 더 많다?디지털 신호를 떠올리면 흔히 이상적인 구형파(Square Wave)를 생각하게 됩니다. 오실로스코프에서 클럭이나 데이터 라인을 관찰하면 마치 정사각형처럼 ‘0과 1’ 사이를 깔끔하게 오가는 파형이 보이기 때문입니다. 겉보기엔 단순한 네모 파형 같지만, 이 내부에는 우리가 쉽게 간과하는 고주파 성분이 숨어 있습니다. 이상적 구형파 속엔 무엇이 숨어 있나?이론적으로 완벽한 구형파는 상승과 하강이 무한히 빠르고, 듀티 사이클이 50%인 파형입니다. 현실 세계에서 이런 파형은 존재하지 않지만, 신호를 주파수 관점에서 분석하기 위해선 이 개념이 매우 중요합니다. 푸리에 변환을 통해 구형파를 해석하면 기본 주파수(1차 성분)를 중심으로 3차, 5차, 7차 같은 홀수차.. 2025. 5. 20.
[PCB EMI] 디저털 파형의 스펙트럼 (10) 디지털 신호, 왜 스펙트럼을 봐야 할까? – 오실로스코프만으론 부족한 이유디지털 회로 설계를 하다 보면 신호가 육안으로는 정상처럼 보이는데도 불구하고, 오동작을 하거나 EMI 테스트에서 불합격 판정을 받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때 단순히 시간 영역에서 파형만 보는 것으론 한계가 있습니다. 눈에 보이는 신호 이면에 숨은 주파수 성분, 즉 스펙트럼까지 분석해야 진짜 원인을 알 수 있습니다. 왜 푸리에 변환이 필요한가?우리가 오실로스코프에서 확인하는 신호는 시간 축(Time Domain)에서 전압이나 전류의 변화를 관찰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파형은 그 신호가 어떤 주파수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는지는 알려주지 못합니다.디지털 신호는 겉보기엔 단순한 사각파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여러 개의 정현파가 겹쳐진.. 2025. 5.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