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27

[PCB] EMC를 위한 PCB 설계 가이드 라인 (8) 완벽한 전자파 적합성 확보안녕하세요, 고성능 전자기기 개발에 있어 필수적인 'EMI/EMC 대책 PCB 설계 가이드라인'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입니다. 현대의 모든 전자기기는 전자파 적합성(EMC) 규제를 준수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설계 단계부터 EMI(전자파 간섭) 및 EMS(전자파 내성)를 고려한 PCB 설계가 필수적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PCB 입문자와 중급자 수준에 맞춰 EMC 문제를 예방하고 해결하기 위한 29가지 핵심 가이드라인을 자세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성공적인 제품 출시를 위한 필수 지식, 지금부터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PCB 설계 시 왜 EMC를 고려해야 할까요?규제 준수와 제품 신뢰성 확보를 위한 핵심 단계입니다.EMC(Electromagnetic Compatibility)는 전자.. 2025. 8. 11.
[PCB] SI/PI (7) SI/PI 설계의 핵심 원칙 : 10가지 성공 전략안녕하세요, 고속 디지털 시스템 설계에서 '신호 무결성(Signal Integrity, SI)'과 '전원 무결성(Power Integrity, PI)'은 제품의 성능과 신뢰성을 좌우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입니다. 복잡하고 고밀도화되는 PCB 환경에서 SI/PI 문제는 오동작, EMI(전자파 간섭) 증가 등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PCB 입문자와 중급자 수준에 맞춰 SI/PI 설계의 6가지 문제 유형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10가지 성공적인 설계 습관'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안정적인 고성능 PCB 설계를 위한 필수 지식, 지금부터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SI/PI 문제의 6가지 유형, 무엇일까요?고속 신호 설계에서 발생.. 2025. 8. 10.
[PCB] IBIS란? (6) IBIS 모델 : 고속 디지털 설계의 필수 검증 도구안녕하세요, 고속 디지털 회로 설계에서 신호 무결성(Signal Integrity, SI) 문제를 해결하고 노이즈(Noise)를 예측하는 데 필수적인 IBIS 모델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입니다. 현대의 PCB는 고밀도, 고속화되면서 전송선 효과, 반사, 크로스톡과 같은 복잡한 문제들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시스템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IBIS(I/O Buffer Information Specification) 모델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PCB 입문자와 중급자 수준에 맞춰 IBIS 모델의 개념과 중요성, 그리고 활용 방안을 자세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IBIS 모델이란 무엇일까요?반도체 I/O 버퍼의 전기적 특성을 정의하.. 2025. 8. 8.
[PCB] S-Parameters (5) S 파라미터(S-Parameters) : 고속 신호 분석의 필수 도구디지털 시스템의 동작 주파수가 높아지고 커넥터, 케이블, PCB 트레이스, 비아와 같은 수동 소자들이 전송선(Transmission Line)으로 동작하면서, 기존의 저주파 회로 해석 방식으로는 정확한 분석이 어려워졌습니다.이번 글에서는 PCB 입문자와 중급자 수준에 맞춰 S 파라미터의 개념과 측정 원리, 그리고 주요 활용 분야를 자세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고속 신호 분석을 위한 필수 지식, 지금부터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S 파라미터란 무엇일까요?RF 및 고주파 영역에서 소자의 특성을 분석하는 도구입니다.S 파라미터(Scattering Parameters)는 고주파(RF) 및 마이크로파(Microwave) 회로망의 특성을 정의하는 데 .. 2025. 8. 6.
[PCB] 전송선로의 토폴로지 (4) 전송선 토폴로지: 고속 신호 설계의 핵심 전략안정적인 고속 신호 전송을 위한 설계 전략, 바로 전송선 토폴로지(Transmission Line Topology)에 대한 이해입니다. 디지털 시스템의 속도가 빨라지면서 신호의 반사, 왜곡, 크로스톡 등의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PCB 설계 단계에서 사전 제어가 필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PCB 입문자와 중급자 수준에 맞춰 전송선 토폴로지의 개념과 종류를 상세히 소개합니다. 전송선 토폴로지란 무엇일까요?신호 전송 효율을 결정하는 배선 구조전송선 토폴로지는 드라이버에서 리시버로 신호가 어떻게 배선되는지를 정의하는 구성 방식입니다. 고속 신호 환경에서는 단순 연결이 아닌, 반사와 임피던스 불연속 등을 최소화하는 구조가 요구됩니다. 신호 무결성(SI).. 2025. 7. 29.
[PCB] 20H Rule (3) PCB 노이즈 제어: 20H Rule, 패러데이 케이지, 그리고 PCB 종류PCB 설계의 핵심 과제 중 하나인 노이즈 제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는 시간입니다. 지금까지 EMI/EMC의 기본 개념, ESD 대책, 그리고 PCB 적층 구조의 중요성을 살펴보았습니다. 오늘은 더욱 효과적인 노이즈 감소를 위한 구체적인 설계 규칙인 20H Rule과 패러데이 케이지(Faraday Cage), 그리고 다양한 PCB 종류에 대해 입문자와 중급자 수준에 맞춰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안정적인 고성능 PCB 설계를 위한 필수 지식, 지금부터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20H Rule: EMI 방출을 최소화하는 핵심 규칙전원면과 접지면 간의 효율적인 노이즈 제어PCB 설계에서 20H Rule은 전원면(Power Plane)에서 발.. 2025. 7. 2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