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emc설계12

[PCB EMI] 전원 회로의 PCB 설계 (104) 전원 회로 설계로 EMI/EMC 문제 해결하기전자기 간섭(EMI)과 전자기 호환성(EMC)은 고성능 전자기기에서 해결해야 할 중요한 과제입니다. 그 중심에는 전원 회로 설계가 있습니다. DC-DC 컨버터 같은 스위칭 전원은 높은 효율을 제공하지만, 동시에 시스템에 유해한 노이즈를 생성할 수 있어 세심한 PCB 설계가 필수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EMI/EMC 대응을 위한 전원 회로 설계 전략을 소개합니다. 스위칭 방식 전원의 노이즈 특징DC-DC 컨버터는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빠른 ON/OFF 작동으로 전압을 조절하는 구조입니다. 이 과정에서 수 MHz에 달하는 스위칭 주파수가 발생하며, 전도성 노이즈와 방사성 노이즈 모두의 원인이 됩니다. 특히 스위칭 루프가 크면 전자파가 외부로 방사되므로, 루프 면적을 .. 2025. 7. 5.
[PCB EMI] 접지설계 (102) 효과적인 접지 설계를 위한 핵심 전략현대의 고속 전자 시스템에서 접지(Ground) 설계는 단순한 기준 전압 제공을 넘어, 신호 무결성 확보와 EMI/EMC 대응에 결정적인 요소로 작용합니다. 불완전한 접지 구조는 의도치 않은 전류 루프나 공통 임피던스 결합을 유발하며, 이는 곧 시스템 오동작이나 규격 미달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접지는 설계 초기 단계부터 전략적으로 접근해야 합니다. 접지 설계 방식의 분류접지 구성은 시스템 특성과 사용 주파수에 따라 크게 세 가지로 나뉩니다. 직렬 접지(일점 접지), 병렬 접지(다점 접지), 혼성 접지가 그것입니다. 이들은 각각 저주파, 고주파, 혼합 주파수 환경에 적합하며, 설계자는 회로의 전기적 동작과 노이즈 발생 경로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최적의 구조를 .. 2025. 7. 3.
[PCB EMI] 접지란 (101) 접지(Ground)의 모든 것과 EMI/EMC 대책전자기 간섭(EMI)과 전자기 호환성(EMC)은 고속 디지털 회로나 무선 통신 제품에서 반드시 고려해야 할 문제입니다. 이 문제의 중심에는 바로 '접지(Ground)' 개념이 존재합니다. 접지는 단순한 전압 기준점이 아니라, 시스템의 안정성 확보, 신호 품질 유지, 그리고 노이즈 제어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핵심 설계 요소입니다. 이 글에서는 PCB 설계에 있어 접지가 수행하는 역할과 그 중요성, 그리고 EMI/EMC 대책으로서의 설계 전략을 정리합니다. 접지란 무엇인가: 전자기기의 기준점과 보호 메커니즘접지는 두 가지 관점에서 중요합니다. 첫째는 안전을 위한 접지로, 감전이나 과전류 사고 시 전류를 땅으로 흘려보내는 역할을 합니다. 둘째는 회로 동작.. 2025. 7. 2.
[PCB EMI] 차동모드와 코먼모드 전류 (97) 차동 모드와 공통 모드 전류의 이해와 EMI 대책전자기 간섭(EMI)은 현대 전자제품 설계에서 큰 문제 요소 중 하나입니다. 특히 PCB(Printed Circuit Board) 설계에서는 EMI의 대부분이 공통 모드 전류에서 비롯되며, 이는 전자기 호환성(EMC) 확보에 핵심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이 글에서는 차동 모드 전류와 공통 모드 전류의 차이를 설명하고, 각 전류 유형에 적절한 EMI 대응 전략과 측정 방법을 소개합니다.공통 모드 전류란 무엇인가?공통 모드 전류는 기준면(주로 접지면)과 관련된 불균형에 의해 발생하는 전류입니다. 두 신호선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흐르며, 기준면을 통해 귀환하는 특성을 가집니다. 이 전류는 루프 면적이 크기 때문에 EMI 방사의 주요 원인이 됩니다. 차동 모드 전류.. 2025. 6. 27.
[PCB EMI] 방사 노이즈원의 종류 (95) EMI 방사원의 종류와 효과적인 EMC 대책전자기 간섭(EMI)은 모든 전자 시스템 설계에서 중요한 고려 대상입니다. 특히 고속 신호를 다루는 PCB 설계에서는 예상치 못한 방사 노이즈가 외부로 유출되어 제품 인증 실패나 시스템 간섭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려면 EMI 발생 원인을 명확히 이해하고, 설계 단계에서부터 체계적인 대책을 수립해야 합니다. EMI 방사의 주요 형태: 차동 모드와 공통 모드PCB 설계 시 발생하는 EMI는 크게 차동 모드(Differential Mode)와 공통 모드(Common Mode) 노이즈로 구분됩니다. 두 유형은 신호 경로, 방사 메커니즘, 주파수 특성이 서로 다르며, 각각에 대한 대책도 달라야 합니다. 따라서 노이즈의 성격을 구분하고 이에 맞는 EM.. 2025. 6. 25.
[PCB EMI] 부하조건에 따른 반사 (42) 개방, 단락, 매칭 시의 신호 거동 분석전송 선로에서 신호의 반사 여부는 부하 임피던스(ZL)와 선로의 특성 임피던스(Z0) 간의 관계에 따라 결정됩니다. 부하가 개방(Open), 단락(Short), 매칭(Matched)된 상태는 각각의 반사 계수(Γ) 및 투과 계수(T)에 영향을 주며, 이는 곧 신호 품질과 전송 효율에 직결됩니다. 1. 개방(Open) 상태: ZL = ∞전송 선로 끝단이 개방되어 부하 임피던스가 무한대인 경우, 전류는 흐를 수 없으며 반사 계수는 +1이 됩니다.이는 입사된 신호가 100% 반사되어 원래 방향으로 되돌아감을 의미합니다. 투과 계수는 2로 나타나며, 이는 개방 단에서 전압 기준으로 해석한 결과로 실제 에너지 전달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반사된 전압이 겹쳐지면서 전압이 두 배.. 2025. 5.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