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덕턴스6

[PCB EMI] 전송 선로의 lumped 모델 (39) 간략화된 해석 접근전송 선로의 동작을 보다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사용하는 대표적인 방법 중 하나가 집중 소자 모델입니다. 이 방식은 복잡한 전송 구조를 일정 구간의 인덕터(L)와 커패시터(C)로 치환하여 분석함으로써, 고주파 특성과 신호 전파 거동을 간단하게 해석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집니다. 집중 소자 모델이란 무엇인가?집중 소자 모델은 전송 선로를 짧은 구간으로 나누고 각 구간을 인덕턴스와 커패시턴스로 구성된 LC 회로로 근사합니다. 실제로 전송 선로는 분포된 형태의 R, L, G, C 값을 갖지만, 신호의 상승 시간이 충분히 느리고 전송 지연이 짧을 경우에는 이러한 근사화가 유효합니다. 즉, 상승 시간(Tr)에 비해 전송 지연(Td)이 매우 작다면, 전체 전송 선로를 몇 개의 LC 회로로 나누어 .. 2025. 5. 26.
[PCB EMI] 일반적인 전송 선로의 파라미터 (38) 일반적인 전송 선로의 파라미터: 다양한 매체의 특성 비교전송 선로는 신호의 정확한 전달을 위해 필수적인 구성 요소로, 각 매체는 고유의 전기적 특성을 가집니다. 여기서는 주요 전송 매체의 단위 길이당 인덕턴스(L0), 커패시턴스(C0), 특성 임피던스(Z0), 전파 지연(Td) 값을 비교하고, 그 차이가 시스템 설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다양한 전송 선로의 특성 비교아래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송 선로의 전기적 파라미터입니다. 이는 설계 시 선로 선택 및 모델링 기준이 되며, 고속 신호의 전송 품질과도 직결됩니다.전송 선로L0 (nH/in)C0 (pF/in)Z0 (Ω)Td (ps/in)Air--37783Single Wire510.15600~100Twisted Pair Cable12~25.. 2025. 5. 25.
[PCB EMI] 전송선로의 전기적 특성 (33) R, L, C 관점에서 이해하기고속 디지털 회로나 RF 회로에서 전송 선로는 단순한 배선 이상의 역할을 수행합니다. 전송 선로를 구성하는 도체와 유전체는 각각 저항(R), 인덕턴스(L), 커패시턴스(C)와 같은 전기적 특성을 갖고 있으며, 이러한 요소들이 신호의 품질과 전파 속도, 감쇠 특성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이번 글에서는 전송 선로의 전기적 특성을 R, L, C의 관점에서 깊이 있게 살펴보겠습니다. 저항(Resistance, R): 신호 감쇠의 주요 원인전송 선로의 도체는 물리적으로 저항을 가집니다. 이 저항은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며 전압 강하와 전력 손실을 유발합니다. 일반적으로 저항은 도체의 길이에 비례하고, 단면적에는 반비례하며, 재질의 고유 저항값에 따라 달라집니다.고주파 환경에서는 .. 2025. 5. 24.
[PCB EMI] 유전율, 도전율, 투자율 (29) 물질의 전기적·자기적 특성 완벽 해부전자기학과 회로 설계에서 자주 등장하는 개념인 유전율(ϵ), 도전율(σ), 투자율(μ)은 물질의 기본적인 전기적·자기적 반응 특성을 설명하는 핵심 물리량입니다. 이들 파라미터는 전자기파의 전달, 신호의 손실, 에너지 저장 특성 등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로, 소자나 회로의 성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줍니다. 유전율(ϵ): 전기장의 영향을 얼마나 받는가유전율은 물질이 외부 전기장에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하는지를 나타냅니다. 쉽게 말해, 전기장을 얼마나 잘 '저장'하거나 '형성'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유전율이 높을수록 물질 내부에 더 많은 전기장이 형성되어 에너지를 축적할 수 있으며, 이는 커패시턴스와 밀접하게 연관됩니다. 단위는 패럿 퍼 미터(F/m)를 사용합니다.. 2025. 5. 23.
[PCB EMI] 도체구조에 따른 R,L,C (27) 도체 구조에 따른 R, L, C의 변화PCB(Printed Circuit Board)를 설계할 때는 단순히 회로 연결을 넘어서, 도체의 구조가 저항(R), 인덕턴스(L), 커패시턴스(C)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러한 요소들은 고속 신호의 품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며, 전자기적 간섭(EMI)과 같은 문제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기초가 됩니다. 도체 구조와 R, L, C의 상관관계PCB의 트레이스는 도선처럼 작동하며, 이 트레이스 자체가 저항, 인덕턴스, 커패시턴스 성분을 내포합니다. 이를 무시한 채 회로를 설계하면 예상치 못한 신호 왜곡이나 전력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저항(R): 도체의 저항은 길이에 비례하고 단면적(폭과 두께)에 반비례합니다. 즉, 트레이스가 길.. 2025. 5. 22.
[PCB EMI] 저주파와 고주파 등가 회로 (23) 저주파 등가 회로 vs 고주파 등가 회로: 모델링의 차이점 완벽 분석전자 회로 설계에서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주파수 특성에 따라 회로를 어떻게 모델링하느냐입니다. 특히 저주파와 고주파 영역에서는 회로 요소의 동작 방식과 그 영향을 받는 정도가 크게 다르기 때문에, 적절한 등가 회로 모델을 선택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이 글에서는 저주파와 고주파에서 사용되는 등가 회로 모델의 차이점과, 고주파 설계 시 반드시 고려해야 할 요소들에 대해 자세히 설명합니다. 저주파 등가 회로: 단순하고 이상적인 모델저주파 회로는 일반적으로 수 kHz 이하 또는 수 MHz 이하의 범위를 의미합니다. 이 영역에서는 회로를 구성하는 부품(저항, 인덕터, 커패시터 등)이 이상적인 특성을 갖는다고 가정합니다. 즉, 각 부품은 저항값.. 2025. 5.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