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rosstalk방지2

[PCB EMI] 디지털 신호의 왜곡 (14) 디지털 신호는 왜 이상적으로 전달되지 않을까?이론상 디지털 신호는 이상적인 사각파 형태를 갖지만, 실제 전송 환경에서는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왜곡이 발생합니다. 특히 고속 신호 환경에서는 임피던스 불연속, Via, 패턴의 급격한 변화 등이 반사를 유발하고, 이로 인해 Overshoot, Undershoot 같은 현상이 나타납니다. 이는 상승시간과 하강시간을 저하시켜 신호 품질을 떨어뜨리고, 결과적으로 EMI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Ringing은 어떻게 생기며, 시스템에 어떤 영향을 줄까?Ringing은 주로 전송선에서의 임피던스 불일치에 의해 발생합니다. 신호가 급격한 변화점이나 Via, 꺾인 패턴 등을 통과할 때 반사가 일어나고, 이 반사된 신호가 원래 신호와 중첩되면서 진동 형태의 Ringin.. 2025. 5. 21.
[PCB EMI] SI의 문제 발생 원인과 대책 (8) 신호가 왜 삐끗할까?PCB 설계를 하다 보면, 분명히 정상으로 보였던 회로에서 신호가 예상과 다르게 반응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합니다. 테스트 환경에선 잘 동작하던 회로가 실사용에서는 데이터 오류를 일으키거나, 타이밍이 어긋나며 불안정해지는 사례도 흔합니다. 이런 경우 설계자는 가장 먼저 SI, 즉 신호 무결성(Signal Integrity)의 문제를 점검하게 됩니다. SI 문제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임피던스 불연속신호선의 폭이 갑자기 바뀌거나, 급격히 꺾이거나(Bending), Via를 지나거나 Stub이 생기면 선로의 임피던스가 일정하지 않게 됩니다. 이런 불연속은 고속 신호에서 반사를 유발하며, 파형을 왜곡시키는 직접적인 원인이 됩니다.Ringing임피던스 매칭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신호가 끝단에.. 2025. 5.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