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필터설계3

[PCB EMI] 직렬공진과 병렬공진 (28) LC 회로의 주파수 선택 능력 이해하기LC 회로에서는 특정 주파수에서 공진 현상이 발생하며, 이는 회로의 임피던스 특성을 극적으로 변화시킵니다. 이러한 공진은 신호 필터링, 발진기, 무선 통신 등 다양한 전자 회로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본문에서는 직렬 공진과 병렬 공진의 동작 원리와 차이를 중심으로, 그 활용 방법까지 정리해 보겠습니다. 공진이란 무엇인가?공진은 인덕터(L)의 유도 리액턴스(ωL)와 커패시터(C)의 용량 리액턴스(1/ωC)가 같은 크기를 가질 때 발생합니다. 이 두 성분이 서로 상쇄되면 회로의 임피던스가 급격히 변하는 현상이 나타납니다. 이때의 주파수를 공진 주파수(f₀)라고 하며, 다음과 같이 정의됩니다.f₀ = 1 / (2π√(LC))공진 주파수에서는 회로가 특정 주파수 성분에.. 2025. 5. 23.
[PCB EMI] RLC의 기본 (21) 전자 회로의 기본 소자, RLC의 모든 것: 저항, 인덕터, 커패시터 심층 분석전자 회로를 설계하고 분석할 때 가장 먼저 이해해야 할 구성 요소가 바로 저항(Resistor), 인덕터(Inductor), 커패시터(Capacitor)입니다. 이들 RLC 소자는 수동 소자로 분류되며, 에너지를 생성하지 않고 제어하거나 저장하는 역할을 합니다. 각각의 특성과 동작 원리를 정확히 이해하면, 보다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회로 설계가 가능해집니다. 저항(Resistor): 전류의 흐름을 제한하는 소자저항은 전류의 흐름에 대한 물리적 저항을 제공하여 전류량을 조절하는 기능을 합니다. 간단히 말해, 도체 내의 마찰처럼 전자 흐름을 방해하여 전압 강하를 발생시킵니다. 저항값은 옴(Ω)으로 표시되며, 전압(V), 전류(I),.. 2025. 5. 22.
[PCB EMI] 리플과 링잉 (16) 전원 설계의 난제, 리플(Ripple)과 링잉(Ringing) 완벽 분석스위칭 모드 전원(SMPS)을 설계할 때, 리플(Ripple)과 링잉(Ringing)은 반드시 고려해야 할 주요 노이즈 요소입니다. 이 두 현상은 출력 전압의 품질과 시스템의 EMC 특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정확한 원인을 이해하고 효과적인 억제 대책을 설계에 반영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리플(Ripple)은 무엇이며 왜 발생할까?리플은 DC 전압에 포함된 정현파 형태의 잔여 AC 성분으로, 주로 스위칭 회로에서 인덕터와 커패시터 간의 에너지 변환 과정 중에 발생합니다. 스위칭 주파수와 그 고조파 성분이 출력에 중첩되며, 일반적으로 피크-투-피크(Peak-to-Peak) 전압으로 측정됩니다. 리플의 크기는 부하 조건, .. 2025. 5.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