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27 [PCB EMI] ESD 대책 PCB Layout (110) 완벽한 설계로 제품을 보호하다정전기 방전(ESD)은 PCB 설계에서 무시할 수 없는 리스크입니다. 잘못된 레이아웃은 보호 소자를 적용했더라도 ESD를 막지 못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실제 설계에서 ESD 대책을 어떻게 배치해야 효과적인지, 보호 소자의 위치와 접지 방법을 중심으로 살펴보겠습니다. ESD 보호 소자 배치는 왜 중요한가?ESD 보호 소자는 외부 신호가 유입되는 I/O 커넥터 근처에 배치해야 합니다. ESD 펄스는 수 ns 이내로 상승하는 고속 과도현상이기 때문에, 패턴 길이가 조금만 길어도 그 사이로 펄스가 민감한 IC까지 침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커넥터에서 ESD 소자, 그리고 접지로 이어지는 경로는 최대한 짧고 직선에 가깝게 구성하는 것이 필수입니다. 접지 설계 : 시그널 GN.. 2025. 7. 10. [PCB EMI] ESD 대책 부품 (109) ESD 보호 소자의 모든 것 : 바리스터 vs. TVS 다이오드정전기 방전(ESD)은 전자기기 오작동의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PCB 설계 시 이를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다양한 보호 소자가 사용되며, 그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바리스터(Varistor)와 TVS(Transient Voltage Suppressor) 다이오드입니다. 이 글에서는 두 소자의 차이점과 선택 기준을 명확히 비교해 보겠습니다. 바리스터와 TVS 다이오드는 어떻게 다를까?바리스터는 금속 산화물로 구성된 비선형 저항 소자로, 특정 전압 이상이 되면 저항값이 급격히 낮아져 과도 전류를 흡수합니다. TVS 다이오드는 PN 접합 기반의 반도체 소자로, 특정 항복 전압 이상에서 순간적으로 도통하여 전압을 클램핑(clamping)합니다... 2025. 7. 9. [PCB EMI] 정전기 대책 설계 (108) ESD 보호 소자의 모든 것PCB 설계에서 정전기 방전(ESD)은 간과할 수 없는 주요 리스크입니다. 특히 외부 인터페이스가 많은 회로나 민감한 IC가 포함된 제품에서는 ESD 대책이 제품 신뢰성의 핵심 요소로 작용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실제 회로 설계에 적용되는 ESD 보호 소자의 종류와 동작 원리, 그리고 주요 활용법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ESD 보호 회로의 기본, 대표적인 3가지 소자다이오드, TVS 다이오드, 바리스터는 ESD 보호의 핵심 소자입니다.ESD 보호를 위해 널리 사용되는 소자는 크게 세 가지입니다. 첫째는 일반 다이오드, 둘째는 TVS(Transient Voltage Suppressor) 다이오드, 셋째는 바리스터(Varistor)입니다. 이들은 모두 ESD 전류를 우회하거나 흡수함으.. 2025. 7. 8. [PCB EMI] 정전기란 (107) 정전기 방전(ESD) 완벽 분석 : PCB 보호의 핵심전자기기를 다루는 모든 환경에서 정전기 방전(ESD, Electrostatic Discharge)은 예기치 않은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회로 설계 단계에서 이를 간과하면 제품의 신뢰성은 물론, 전체 생산 품질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정전기 방전의 개념부터 전자기기 및 PCB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효과적인 대책까지 체계적으로 정리해 보겠습니다. 정전기 방전이란 무엇인가요?정전기 방전은 서로 다른 전위를 가진 두 물체 간에 전하가 갑작스럽게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전기 현상입니다.건조한 날 문손잡이를 잡을 때 손끝이 따끔한 경험을 해보셨다면, 그것이 바로 ESD입니다. 이처럼 일상에서 흔히 발생하는 정전기는 전자기기 내부.. 2025. 7. 7. [PCB EMI] 귀환경로 불연속 (106) PCB 설계의 숨겨진 적, 귀환 경로 불연속(Return Path Discontinuity) 제대로 이해하기PCB 설계에서 고속 신호의 무결성을 확보하는 일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그 중심에는 우리가 자주 놓치기 쉬운 ‘귀환 경로(Return Path)’가 있습니다. 특히 이 경로가 끊기거나 왜곡되면 신호 품질 저하, EMI 증가, 인증 실패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이러한 귀환 경로 불연속(Return Path Discontinuity)의 개념과 해결 방법을 상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왜 귀환 경로가 중요한가?고속 신호가 전송될 때는 전류가 단순히 도체를 따라 한 방향으로 흐르는 것이 아니라, 반드시 되돌아오는 전류(귀환 전류)가 필요합니다. 이 귀환 전류는 일반적으로 신.. 2025. 7. 7. [PCB EMI] 귀환경로 (105) 안정적인 귀환 경로(Return Path) 설계로 노이즈 제어하기고속 디지털 회로나 고주파 아날로그 회로에서는 신호가 흐르는 경로뿐 아니라 그 신호가 다시 회귀하는 경로, 즉 귀환 경로(Return Path)의 설계가 시스템 성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귀환 경로가 적절히 설계되지 않으면, 신호 무결성 저하나 EMI(전자기 간섭)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귀환 경로의 기본 개념부터 고주파 대응 설계 전략까지, 실질적인 PCB 설계에 도움이 되는 내용을 다룹니다. 귀환 경로란 무엇인가?귀환 경로는 신호가 송신부에서 수신부로 전달된 뒤, 다시 원래의 기준 전위(Ground 또는 Power)로 되돌아오는 전류의 경로를 의미합니다. 신호 전류는 반드시 폐루프(Closed Loop)를 형성해.. 2025. 7. 6. 이전 1 2 3 4 5 6 ··· 22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