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27 [PCB EMI] 페라이트 비드 (86) 페라이트 비드의 주파수 특성과 노이즈 대책고속 디지털 회로를 설계할 때 전자기 간섭(EMI)과 고주파 노이즈는 항상 고려해야 할 요소입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 중, 페라이트 비드는 고주파 성분을 효과적으로 감쇠시키는 수동 소자로 널리 활용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페라이트 비드의 구조와 주파수별 임피던스 변화, 그리고 실전 회로 설계에서의 활용 방안을 살펴보겠습니다. 1. 페라이트 비드란 무엇인가?페라이트 비드는 페라이트 소재로 구성된 필터 소자입니다. 주로 고주파 노이즈를 흡수하여 열로 변환시키는 특성을 가지며, SMD 타입, 클립형, 원통형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됩니다. 일정 주파수 이상의 신호 성분을 감쇠시키는 역할을 하며, 특히 전원 라인이나 고속 데이터 라인에서 노이즈 억제 .. 2025. 6. 18. [PCB EMI] 필터의 종류별 적용 (85) PCB 설계 심화: 필터의 종류별 적용과 임피던스 매칭고속 디지털 회로나 민감한 아날로그 회로에서 안정적인 신호 품질을 확보하려면 노이즈 억제가 필수적입니다. 특히 전원 및 신호 라인에 필터를 적용할 때는 단순한 주파수 특성뿐 아니라 연결되는 회로의 임피던스 특성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필터 설계 시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할 입력/출력 임피던스 매칭과, 임피던스 조건에 따라 달라지는 필터 구성 방식에 대해 정리합니다. 1. 필터 적용에서 임피던스 매칭이 중요한 이유필터는 이상적인 회로가 아닌 실제 시스템에 연결되기 때문에, 해당 회로의 입력 임피던스(Zin)와 출력 임피던스(Zout)에 따라 동작 특성이 달라집니다. 같은 회로라도 임피던스 조건에 따라 노이즈 제거 성능에 큰 차이가 발생할.. 2025. 6. 17. [PCB EMI] 필터의 종류별 특성 (84) 필터의 종류별 특성 분석과 적용고속 디지털 회로의 신뢰성과 성능 확보를 위해 반드시 고려해야 할 요소 중 하나는 노이즈 제어입니다. 이전 글에서 기본적인 필터 개념을 다뤘다면, 이번에는 다양한 필터 회로의 감쇠 특성과 차단 주파수(Cutoff Frequency)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봅니다. 특히 필터의 차수(Order)에 따라 임피던스 감쇠 곡선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설명하며, 회로 설계 시 실질적으로 참고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합니다. 1. 필터의 종류별 특성: 노이즈 감쇠 효율 분석필터는 주로 인덕터와 캐패시터 등 수동 소자를 이용해 구성되며, 고주파 성분을 선택적으로 차단해 노이즈 억제 효과를 발휘합니다. 각각의 소자 특성에 따라 감쇠 곡선이 달라지므로, 필터의 구성 방식과 차수에 따라 성능 .. 2025. 6. 17. [PCB EMI] Noise 필터 개요 (83) 노이즈 필터의 이해와 적용고속 디지털 회로 설계에서는 신호의 무결성과 전원 안정성이 필수 요소이며, 이를 저해하는 대표적인 요인이 노이즈입니다. 다양한 노이즈 억제 기술 중에서도 필터는 핵심적인 수단으로, PCB 설계 시 필수적으로 고려되어야 합니다. 본 글에서는 저역 통과 필터(LPF), 고역 통과 필터(HPF)를 중심으로 노이즈 필터의 원리와 구조, 주요 특성에 대해 정리합니다. 1. 노이즈 필터 개요: 신호와 노이즈의 분리필터는 원하는 주파수 성분만 통과시키고 나머지를 차단함으로써, 회로 내 불필요한 신호를 제거합니다. 특히 고속 회로에서는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를 줄이고 전원 및 신호 무결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노이즈와 유효 신호는 일반적으로 .. 2025. 6. 16. [PCB EMI] PCB Plane 공진 (82) PCB 면 공진(Plane Resonance)의 이해와 대책고성능 PCB를 설계할 때는 단순한 부품 배치나 라우팅을 넘어, 고주파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전자기적 현상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그중 하나인 PCB 면 공진(Plane Resonance)은 시스템 오작동과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이 글에서는 PCB 면 공진의 개념과 원인, 그리고 효과적인 대책에 대해 설명합니다. 1. PCB 면 공진이란 무엇인가?면 공진은 회로 내의 LC 공진과 유사하지만, PCB 내부의 전원층(Power Plane)과 접지층(Ground Plane) 사이의 구조에서도 발생합니다. 이 구조는 마치 캐비티(Cavity)처럼 작용하여, 특정 .. 2025. 6. 16. [PCB EMI] 주파수별 디커플링 대책 (81) 주파수 대역별 디커플링 대책 완벽 가이드고성능 전자 시스템 설계에서 전원 무결성을 확보하는 일은 기본이자 핵심입니다. 지금까지 캐패시터의 기본 동작 원리와 병렬연결 특성, 그리고 주파수 대역별 역할까지 살펴보았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이 내용을 종합해, 주파수 대역에 따른 디커플링 전략을 어떻게 수립할 수 있을지 구체적으로 다뤄보겠습니다. 특히 고속 시스템에서 주목받는 임베디드 캐패시터까지 포함해 실질적인 설계 기준을 제시합니다. 1. 디커플링이 중요한 이유: 루프 인덕턴스와 전원 노이즈전통적으로 0.1uF 또는 0.01uF 캐패시터를 IC 근처에 배치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어 왔습니다. 그러나 고속 시스템에서는 이러한 단일 접근만으로는 전원 노이즈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습니다. 캐패시터 자체의 기생 인덕턴.. 2025. 6. 16. 이전 1 ··· 4 5 6 7 8 9 10 ··· 22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