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방사노이즈3

[PCB EMI] EMI Noise 측정 (114) 준 피크치(Quasi-Peak) 검출기와 EMI 규격의 핵심 이해전자기기 개발에 있어 EMI(전자파 간섭) 테스트는 제품의 신뢰성과 시장 출시를 좌우하는 핵심 절차입니다. 그중에서도 준 피크치(Quasi-Peak) 검출기는 EMI 측정 결과의 해석에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오늘은 이 준 피크치 검출기의 개념부터 국제 표준 규격, 그리고 EMI 측정 단위 해석까지 입문자와 중급자를 위한 실무적인 관점에서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준 피크치(Quasi-Peak) 검출기란?EMI 테스트에서 측정된 노이즈는 단순히 크기만 중요한 것이 아닙니다. 얼마나 자주, 어떤 간격으로 발생하는지가 전자기기 동작에 더 큰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준 피크치(Quasi-Peak)는 노이즈의 반복성을 반영하여 측정값을 조절.. 2025. 7. 21.
[PCB EMI] EMI 규격 표준 (113) EMI 규격 표준 완전 정복 : Class A, B, 그리고 측정 단위까지전자기기 개발에서 가장 까다롭지만 반드시 통과해야 할 관문 중 하나가 바로 EMI 테스트입니다. 제품이 시장에 진출하려면 전자파 방출량이 각 국가의 규격을 만족해야 하며, 이때 따라야 할 기준이 바로 EMI(전자파 간섭) 표준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EMI 규격의 분류(Class A, Class B)부터 전도/방사 노이즈 측정 방식, 그리고 측정 단위 해석까지 PCB 설계자 입장에서 꼭 알아야 할 내용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EMI 규격의 기준 : Class A와 Class B의 차이전자파 규격은 기기가 사용될 환경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Class A : 산업용 기기에 적용됩니다. 공장, 통신 장비, 제어 시스템 등 일반인이.. 2025. 7. 19.
[PCB EMI] 노이즈 대책 수순 (99) PCB 설계의 필수 : 효과적인 EMI/EMC 전략전자제품 설계에서 노이즈 문제는 단순한 성능 저하를 넘어 제품의 인증 실패, 기능 오작동, 신뢰성 저하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특히 고속 디지털 회로나 RF 회로를 포함한 제품에서는 설계 초기부터 노이즈 대책을 체계적으로 수립해야만 불필요한 재설계와 인증 반복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노이즈 분석의 출발점 : 종류와 주파수 특성 이해노이즈는 크게 방사 노이즈(Radiated Emission)와 전도성 노이즈(Conducted Emission)로 나뉩니다. 방사 노이즈는 일반적으로 30 MHz 이상의 고주파 대역에서 문제가 되며, 안테나처럼 작용하는 배선이나 케이블을 통해 외부로 방사됩니다. 반면, 전도성 노이즈는 150kHz~30 MHz 구간에서 주로 전원.. 2025. 6. 28.
728x90
반응형